(e대한경제, 2021.11.10) 문화계 마피아 때문에 세계적 유산 ‘증도가자’가 썩고 있어요 > 뉴스

본문 바로가기

뉴스

(e대한경제, 2021.11.10) 문화계 마피아 때문에 세계적 유산 ‘증도가자’가 썩고 있어요

페이지 정보

  • 조회수2,300
  • 작성일21-11-10 12:51

본문

cfd10eb634011a1ff999aaaddcad7b94_1636516136_335.jpg
김종춘 회장이 한국 고미술시장 활성화방안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모든 것이 서양화된 현실에서 한국인들에게 서양 문물보다 한국의 것이 우수하다는 사실을 알려줘야 한다는 의무감이 들었습니다. 우리만의 나침반을 만들어보고 싶었습니다.”

김종춘 다보성갤러리 회장은 당시 30대 초반이었다. 그 같은 의무감에 서울 강남구 서초동에 고미술전문 화랑 ‘다보성’을 열었다.

전국을 돌아다니며 삼국시대 토기를 비롯해 도자기, 불화, 고서화 등 전통적 가치가 있다고 판단되는 문화재를 닥치는 대로 수집했다. 해외로 유출되는 문화유산을 안타까이 여겨 서화나 도자기, 불상, 석조물, 서적을 발굴해서 이 땅에 남기는 일에 전 재산과 젊음을 바쳤다.

1992년에는 화랑을 지금의 종로구 인사동으로 옮겨 전통문화재 수집과 대중화에 박차를 가했다. 그동안 모은 유물만도 2000~3000점에 달한다. ‘백운화상초록불조직지심체요절(직지)’보다 138년이 앞선 것으로 추정되는 고려금속활자도 100여점 소장하고 있다. 그래서 언제부터인지 다보성이 ‘고미술 보물창고’라는 말도 인사동에서 자연스럽게 나왔다.

남다른 안목과 예지력, 두둑한 배짱을 바탕으로 고미술 사업을 벌여온 김 회장이 올해로 화랑 개업 40년을 맞아 또 한번 큰일을 해냈다. 지난달 27일부터 한국과 중국 국보급 문화유산을 모은 기획전 ‘한-중문화유산 재발견’전을 시작했다.

1층 한국관에는 선사시대 토기부터 삼국시대 금제목걸이, 고려시대 때 제작된 ‘청자역상감동자문유개소주자’, 조선시대 ‘백자청화호치문호’와 ‘화각필통’, 내고 박생광의 ‘장생도 6폭 일지병풍’ 등 다양한 문화유산 300여점을 골라 배치했다. 또 2층에는 선사시대 흑도잔을 비롯해 당나라 채회도용, 송나라 정요백자, 원나라·명나라 청화백자, 청나라 채색자기, 민국시대 주산팔우 도화 등 200여점을 처음 공개했다.



202111100824436770740-2-239438.jpg

한국의 백자 달항아리(白瓷大壺), 52×20×20.5㎝, 18세기, 조선. 국보급으로 손색이 없다


        
202111100824436770740-2-239439.jpg

조선시대에 만들어진 백자청화호치문호(41×15×16㎝, 18세기). 호랑이의 익살스러운 표정이 눈길을 끄는 청화백자 항아리다



202111100824436770740-2-239440.jpg
청자 기법으로 만들어진 고려시대의 불상. 희귀성 만으로도 소장 가치가 높은 작품이다. 
202111100824436770740-2-239443.jpg
중국 한나라 때의 녹유도선(43.5×51.0㎝, BC206∼AD220). 도기의 표면에 납유를 바른 뒤 불에 구워낸 배 모양의 조형물이다



중국 문화재가 대거 공개된 것이 이채롭다.

“내년에는 한국과 중국이 수교 30주년을 맞기 때문에 문화교류도 더욱 활기를 띨 것입니다. 양국의 지난 30년간 긴밀한 관계를 문화재 전시 같은 민관 외교를 통해 더욱 발전시키는 데 앞장서겠습니다. 중국의 좋은 것을 연구해서 한국 문화의 일부분으로 흡수해야죠.”

김 회장은 1997년부터 한국고미협회장을 일곱 번째 연임한 고미술 분야 국내 최고 권위자다. 2003년에는 헌법재판소에 ‘도난문화재를 무조건 보유자로부터 몰수하도록 한 문화재보호법은 위헌’이라며 헌법소원을 내 ‘보유 경위를 안 따지고 몰수하는 것은 위헌’이라는 헌재 결정을 얻어냈다. 김 회장은 특히 시장의 신뢰성을 약화시키는 ‘짝퉁’을 몰아내기 위해 고미협 회장 임기 내내 ‘가짜와의 전쟁’을 벌여 화제를 모았다.

2011년 11월에는 세계 최고 금속활자로 추정되는 ‘증도가자(證道歌字)’를 공개해 세계적인 주목을 받았다.

“당시 엄승용 전 문화재청 정책국장이 제게 두 번이나 찾아와 ‘증도가자’를 국가지정 문화재로 추진하겠다고 제안해 왔죠. 그러나 일부 ‘문피아(문화재+마피아)’ 세력이 제동을 건 것 같아요. 문피아의 반대와 협박으로 세계적인 문화유산이 빛을 보지 못하는 현실이 안타깝습니다.”

김 회장은 “증도가자 논란의 이면에는 전문가들 간의 경쟁의식, 소장자 간의 시각 차이와 파벌 다툼 등이 깔려 있다”며 “청주고인쇄박물관 역시 증도가자가 진짜로 판명되면 ‘직지의 고장’이라는 청주의 위상이 흔들릴 수 있다는 우려를 비쳐 왔다”고 그간의 경위를 설명했다.

그는 최근의 문화행정에 대해서도 쓴소리를 쏟아냈다. “요즘 보면 ‘문화불모지 한국’이란 말이 예사롭지 않아요. 국립중앙박물관 예산이 30억~40억원 수준에 불과해요. 소장품 구입 관련 예산은 크게 깎이고, 관 주도 문화재 행정으로 예술의 자율성과 다양성은 더욱 위축될 게 불을 보듯 뻔합니다.”

그는 고미술시장 활성화 방안도 힘주어 언급했다. “고미술품은 선조들의 ‘문화 DNA(유전자)’가 깃든 유산입니다. K팝이나 K아트 같은 문화의 씨앗을 키워내는 밑거름이고요. 중국은 명나라 도자기 ‘술잔’이 2억8100만홍콩달러(약 380억원)에 팔리는 등 시장이 뜨거운데 우리는 30년 가까이 불황에 빠져 있습니다.”

김 회장이 2006년 시장의 혁신적 변화를 위해 꺼내든 게 고미술 감정아카데미 강좌 개설이다. 협회차원에서 감정 전문가를 양성하고, 고미술품의 진위 구별이나 가치판단 능력을 길러주는 16주 과정이다.

“전직 장관, 금융사 임원, 교수, 변호사 등 각계각층에서 뜨겁게 호응하더군요. 그동안 감정아카데미 과정을 수료한 회원만 2000여명입니다. 앞으로 이들이 한국 고미술 시장의 견인차 역할을 할 겁니다. 고미술 문화대학 설립도 준비 중이고요.”


202111100824436770740-2-239442.jpg
202111100824436770740-2-239441.jpg
고미술의 향연을 방불케 하는 다보성 갤리러 전시작품들. 인사동에서 다보성갤러리는 ‘보물창고’로 불린다. 


그는 “고미술 시장이 꾸준히 성장하려면 누구나 쉽게 소장품을 거래할 수 있는 시스템이 갖춰져야 한다”고 말했다. 이를 위해 그가 세운 기준은 세 가지. 어떤 형태이든 애호가에게 소장 가치를 줘야 하고, 시장의 투명성을 키워야 하고, 모든 사람에게 전통문화의 의미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것이다.

“지금은 국민소득 3만달러 시대입니다. 문화에 투자하는 국민이 있는 한 나라는 절대 망하지 않는다는 것, 돈이 된다고 해서 도자기나 고서화를 구입하는 것이 아니라 문화를 산다는 의식이 중요한 시대입니다.”

김경갑기자 kkk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