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보 및 연구성과

본문 바로가기

홍보 및 연구성과

홍보 및 연구성과

고려금속활자 ‘증도가자’에 대한 세계 대상의 홍보 및 연구 소개

I. 외국과의 교류
1. 독일 마인츠 구텐베르크박물관에서의 홍보 및 교류제안 - (2012)
2. 미국 캘리포니아 버클리대학교에서의 국제학술회의 발표(주제) - (2013.9)
3. 한국학중앙연구원에서의 동북아 인쇄출판관련 학술회의(주제) - (2012)
4. 중국 북경 ‘동방인적(東方印跡)’ 인쇄출판 학술회의 발표 - (2015)
5. 일본 동경 ‘동방학회(東方學會)’에서 주제발표 - (2016)
6. 프랑스 파리 ‘동서양의 인쇄술’ 학술회의에서 “Decouverte de 'Zeungdogaza(證道歌)‘, premiers caracteres metalliques mobiles au monde inventes au 13e siecle, et Etude de Chant de Lumiere"에서 주제 발표 - (2015)
7. 프랑스 파리 유네스코 본부에서 ‘세계기록유산담당관’과 공감대 형성 - (2013)


II. 관련 연구서, 논문 링크
■ 단행본 (제목을 누르면 해당 페이지로 이동)
1. 『고려 금속활자 조사연구』, 청주고인쇄박물관, 2011
2. 『증도가자와 고려시대 금속활자』, 다보성, 2011
3. 『세계 최고 금속활자<증도가자>와 금속활자 주조법 : 인문학과 자연과학이 하나 되는 삶의 지혜 : 고전으로 보는 인쇄기술』, 경북대출판부, 2012
4. 『지식과 정보의 소통이란 측면에서 살펴본 한반도의 금속활자와 목활자의 역사』 "漢子文化圈タ イポグラィの 變遷" 동경 무사시노 미술대학, 2015
5. 『증도가자 기초학술조사 연구보고서』, 한국문화재연구소, 2014
6. 『동아시아 금속활자 인쇄 문화의 창안과 과학성,1』, 한국학중앙연구원, 2017
7. 『동아시아 금속활자 인쇄 문화의 창안과 과학성,2』, 한국학중앙연구원, 2017
8. 『지식정보의 소통과 한국 금속활자 발달사 : 고려시대』, 남권희, 경북대출판부, 2018

■ 논문
▶​ (남권희 교수 발표)
1. “증도가자와 동국이상국집”, 서지학연구소, 2011
2. “한국 금속활자 연구의 제문제 : 형태와 주조법을 중심으로.”, 서지학연구, 2012
3. “고려 금속활자 증도가자의 주조법과 인쇄기술사적분석.”, 서지학회, 2012
4. “동국이상국전집”, 오늘의 도서관(국립중앙도서관), 2014.10. [다운로드]
5. “Age determination of the world's oldest movable metal types through measuring the "meog" using AMS." Nuclear Instruments and Methods in Physics Research Section B. 2015(공동)
6. “증도가자 기초학술조사 연구 성과”, 서지학연구, 2015
​7. “證道歌字 判定의 誤謬에 대한 反論”, 서지학연구, 2015
8. “고려 금속활자에 대한 중국과 북한학자들의 최근 연구 동향”, 서지학연구, 2019


▶ ​(그밖의 ‘증도가자’관련 연구자 논문 편수와 주제)
1. 김성수 교수 (5편)-청주대학교 : 주조법, 조판법
「남명송증도가」의 간행 배경에 관한 분석, 서지학연구, 2010
證道歌字의 진위 규명을 위한 조선시대 금속활자와의 주조 형태에 관한 비교 분석적 연구, 서지학보, 2010
③ 한국 금속활자인쇄술의 始原과 관련한 鑄字本 「남명송증도가」의 간행년도에 관한 연구, 서지학보, 2012
​④ 고려시대 금속활자본의 특징에 관한 연구, 人文科學, 2013
證道歌字와 ‘고려 네다리형 활자’의 연구현황 및 그 가치, 서지학연구, 2015

2. 이완우 교수 (2편)-한국학중앙연구원 : 서체
한글 금속활자 복원을 위한 주조 및 조판 실험 연구, 서지학연구, 2007

3. 옥영정 교수 (3편)-한국학중앙연구원 : 연구사, 판본
​① 고려 금속활자 연구의 흐름과 새로운 변화, 서지학보, 2012
新出 금속활자와 고려시대 서예사, 서지학보, 2012

4. 유부현 교수 (3편)-대진대학교 : 주조법, 조판법
『淸凉答順宗心要法門』과 『南明泉和尙頌證道歌』의 비교 고찰, 서지학보, 2012
2012年까지 소개된 高麗金屬活字의 實物과 僞作에 대하여, 서지학연구, 2013
증도가자의 문화재청 검증에 대한 문제점 - 조판 실험의 광곽 크기를 중심으로 -, 서지학연구, 2018

5. 손계영 교수 (1편)-대구가톨릭대학교 : 서체
​① 여말선초 금속활자를 통해 본 證道歌字 字形의 특징, 서지학연구, 2015

6. 홍완 연구원 (2편)-한국지질자원연구원 : 방사성탄소연대분석
​① 한국지질자원연구원의 탄소연대측정법 소개와 측정사례, 한국구석기학회 학술대회 발표집, 2009

7. 이승철 연구관 (3편)-청주고인쇄박물관 : 서체, 판본
​① 金屬活字 鑄造技術 究明을 위한 復原實驗, 학위논문, 2006
금속활자 주조를 위한 蜜蠟鑄造法의 鑄物土 실험연구, 서지학연구 2006
​③ 고려 금속활자 “증도가자(證道歌字)” 발견의 의의와 경과, 충북학, 2010

8. 예병준 교수 (1편)-경북대학교

9. 윤용현 연구관 (1편)-국립중앙과학관 : 주조법
​① 조선왕실 주조 금속활자 복원활자의 과학 분석, 서지학연구, 2007


​III. 향후의 과제
1. 올바른 문화재지정과 논의
2. 북한 만월대 발굴 활자 5점과 공동 세계기록 및 문화유산 등재추진
3. 중국의 ‘송원대 중국활자’라는 억지주장에 대한 학계 및 관련 분야에서의 반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