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BS, 25.08.18) 광복 80주년의 울림...미래를 여는 다보성갤러리 특별전
페이지 정보
- 조회수88
- 작성일25-08-19 14:09
본문

【 앵커 】
광복 80주년을 맞아 전국 곳곳에서 광복의 의미를 되새기는 다채로운 행사가 열리고 있습니다.
한 갤러리에서는 명성황후로 추정되는 초상화를 비롯해 백범 김구 선생의 묵서 등 우리 근현대사의 굵직한 순간을 함께한 유물들이 선보이고 있습니다.
정영석 기자입니다.
【 기자 】
두 손을 가지런히 모은 여성이 의자에 단정히 앉아 있습니다.
머리에는 두건을 쓰고 저고리와 치마를 갖춰 입었습니다.
격동의 역사 속에서 비극적인 최후를 맞이했던 비운의 국모, 명성황후로 추정되는 초상화입니다.
지금까지 명성황후의 진짜 얼굴로 확정된 사진이나 초상화는 없었던 만큼 공개된 초성화가 실제 모습을 담은 그림이라면 문화재적 가치가 매우 높을 것으로 보입니다.
[김종춘 / 다보성갤러리 회장: 광복 80주년을 맞이해서 암울하고 힘들었던 그 시대를 다시 조명할 수 있는 기회를 만들기 위해 준비했습니다. 이러한 역사적인 자료는 미래 꿈나무들과 모든 국민이 아픈 역사를 되돌아 볼 수 있는...]
단단한 바위 위에 자라난 청초한 난을 보기만 해도 기품이 절로 느껴집니다.
흥선대원군이 제자였던 김응원에게 그려준 작품으로 족자에는 일본인 오카모토가 소장했다는 기록이 새겨져있습니다.
일제시대 초대 조선총독을 지낸 데라우치 마사다케의 인장도 눈길을 사로잡습니다.
‘조국광복’
조국을 위해 모든 것을 바친 백범 김구 선생이 서거하던 해의 설날에 남긴 글씨인데 그의 숭고한 뜻이 큰 울림으로 다가옵니다.
[박재성 / 훈민정음기념사업회 이사장: ('光'자를 보면) 본인의 죽음을 예견했다든지 아니면 남북 분단의 그러한 아픔을 심리적으로 표현을 했다고 저는 생각이 듭니다. 미래에 대한 불확실성을 나타냈다...]
북송 태조의 연호 건륭과 청 고종의 연호 건륭이 함께 새겨진 유일한 인장인 북송 건륭 황제어보 등 중국 황실의 보물도 공개됐습니다.
예로부터 과거급제와 출세, 권세를 상징하는 게 일곱 마리와 여백의 미를 담은 넓은 접시는 조선 청화백자의 아름다움을 잘 보여줍니다.
한국 고미술의 걸작으로 손꼽는 조선시대 백자 '달항아리'도 전시장 한쪽을 가득 채웠습니다.
[김종춘 / 다보성갤러리 회장: 아픈 역사를 우리가 앞으로도 두 번 다시는 이런 일들을 겪어서는 안 되지 않나 생각합니다.]
시공간을 초월해 격동의 역사를 살아낸 유물들을 만날 수 있는 '광복80 미래80 – 다보성 특별전'은 다음달 30일까지 계속됩니다.
BBS 뉴스 정영석입니다.
【主播】
迎来光复80周年之际,全国各地正在举办丰富多彩的活动,以重温光复的意义。
在某画廊里,展出了包括被推测为明成皇后画像、白凡金九先生的墨迹等在内的多件文物,它们共同见证了韩国近现代史上的重要时刻。
【记者】
记者郑荣锡报道。
画面中,一位双手置于膝前,端坐在椅子上的女子映入眼帘。
她头戴头巾,身着整齐的短衣与裙子。
这是在激荡的历史中以悲剧性结局离世,被推测为明成皇后的画像。
迄今为止,并没有被确认为明成皇后真容的照片或画像。若此次公开的这幅画像确实描绘了她的真实面貌,其文化价值将极为重大。
【金种春 / 多宝星古美术馆会长】
“为了迎接光复80周年,我们准备了这次展览,希望借此机会重新审视那段黑暗而艰难的时代。通过这些历史性的资料,能让未来的青少年以及所有国民重新回望那段痛苦的历史……”
只见一株清雅的兰花生长在坚硬的岩石之上,仅凭一瞥便能感受到其气韵。
这是兴宣大院君赠与弟子金应元的作品,轴上还刻有日本人冈本曾收藏过的记录。
曾在日本强占时期出任首任朝鲜总督的寺内正毅的印章也格外引人注目。
“祖国光复”—
这是白凡金九先生在逝世的那一年新年留下的书法,表达了他为祖国奉献一切的崇高精神,带来巨大的震撼。
【朴在成 / 训民正音纪念事业会理事长】
“(从‘光’字来看)我认为他可能预见了自己的死亡,或者是心理上表达了南北分裂的痛苦,也表现出了对未来不确定性的感受……”
此外,还展出了稀有的中国皇室珍宝,同时刻有北宋太祖年号“建隆”和清高宗年号“乾隆”的唯一印玺——“北宋建隆皇帝御宝”。
象征科举及功名权势的七只仙鹤,以及展现留白之美的宽大瓷盘,充分展现了朝鲜青花白瓷的艺术之美。
作为韩国古美术代表杰作之一的朝鲜时代白瓷“月亮罐”也在展厅一角熠熠生辉。
【金种春 / 多宝星古美术馆会长】
“我们要铭记那段痛苦的历史,今后绝不能让这样的事情再次发生。”
超越时空、历经激荡岁月的历史文物,皆可在“光复80年,未来80年—多宝星特别展”中一览。展览将持续至下月30日。
BBS新闻 郑荣锡报道。
【主播】
迎来光复80周年之际,全国各地正在举办丰富多彩的活动,以重温光复的意义。
在某画廊里,展出了包括被推测为明成皇后画像、白凡金九先生的墨迹等在内的多件文物,它们共同见证了韩国近现代史上的重要时刻。
【记者】
记者郑荣锡报道。
画面中,一位双手置于膝前,端坐在椅子上的女子映入眼帘。
她头戴头巾,身着整齐的短衣与裙子。
这是在激荡的历史中以悲剧性结局离世,被推测为明成皇后的画像。
迄今为止,并没有被确认为明成皇后真容的照片或画像。若此次公开的这幅画像确实描绘了她的真实面貌,其文化价值将极为重大。
【金种春 / 多宝星古美术馆会长】
“为了迎接光复80周年,我们准备了这次展览,希望借此机会重新审视那段黑暗而艰难的时代。通过这些历史性的资料,能让未来的青少年以及所有国民重新回望那段痛苦的历史……”
只见一株清雅的兰花生长在坚硬的岩石之上,仅凭一瞥便能感受到其气韵。
这是兴宣大院君赠与弟子金应元的作品,轴上还刻有日本人冈本曾收藏过的记录。
曾在日本强占时期出任首任朝鲜总督的寺内正毅的印章也格外引人注目。
“祖国光复”—
这是白凡金九先生在逝世的那一年新年留下的书法,表达了他为祖国奉献一切的崇高精神,带来巨大的震撼。
【朴在成 / 训民正音纪念事业会理事长】
“(从‘光’字来看)我认为他可能预见了自己的死亡,或者是心理上表达了南北分裂的痛苦,也表现出了对未来不确定性的感受……”
此外,还展出了稀有的中国皇室珍宝,同时刻有北宋太祖年号“建隆”和清高宗年号“乾隆”的唯一印玺——“北宋建隆皇帝御宝”。
象征科举及功名权势的七只仙鹤,以及展现留白之美的宽大瓷盘,充分展现了朝鲜青花白瓷的艺术之美。
作为韩国古美术代表杰作之一的朝鲜时代白瓷“月亮罐”也在展厅一角熠熠生辉。
【金种春 / 多宝星古美术馆会长】
“我们要铭记那段痛苦的历史,今后绝不能让这样的事情再次发生。”
超越时空、历经激荡岁月的历史文物,皆可在“光复80年,未来80年—多宝星特别展”中一览。展览将持续至下月30日。
BBS新闻 郑荣锡报道。
[Anchor]
On the 80th anniversary of Korea’s Liberation, diverse events are being held nationwide to reflect on its meaning.
At one gallery, relics that bear witness to pivotal moments in Korea’s modern history are on display, including a portrait believed to depict Empress Myeongseong and the calligraphy of independence leader Kim Gu.
[Reporter] Jeong Young-seok
A woman with her hands neatly folded sits upright on a chair.
She wears a headscarf along with a traditional jeogori and skirt.
It is a portrait believed to be of Empress Myeongseong, the tragic queen who met a violent end in a turbulent era.
Since no confirmed photograph or portrait of her true likeness has ever been discovered, if this work indeed portrays her real appearance, its cultural value would be immeasurable.
[Kim Jong-chun / Chairman, Daboseong Gallery: “To mark the 80th anniversary of Liberation, we prepared this exhibition to shed light again on that dark and painful era. These historical materials allow the young generation and all citizens to reflect on our difficult past…”]
A refined orchid blooming from a solid rock exudes dignity at first glance.
This was painted by Heungseon Daewongun for his disciple Kim Eung-won, and the scroll bears a record stating it was once in the collection of a Japanese man named Okamoto.
The seal of Terauchi Masatake, the first Governor-General of Korea under Japanese colonial rule, also draws attention.
“National Liberation.”
These words were written by Kim Gu (Baekbeom), who dedicated his life to the nation, on New Year’s Day in the very year of his death. His noble spirit resonates deeply through the work.
[Park Jae-sung / Director, Hunminjeongeum Memorial Foundation: “Looking at the character ‘光’ (light), I believe he was either foreseeing his own death or expressing the sorrow of national division. It also reflects the uncertainty of the future…”]
Also unveiled is the Northern Song Emperor’s seal, the only surviving imperial seal engraved with both the reign title of Emperor Taizu of the Northern Song and Qianlong of the Qing dynasty, a rare treasure of the Chinese imperial household.
A large white porcelain plate adorned with seven horses, long symbols of success, power, and prestige, beautifully illustrates the aesthetics of Joseon blue-and-white ware with its balance of form and empty space.
Filling one corner of the exhibition hall is the famed Joseon white porcelain “Moon Jar”, celebrated as one of the masterpieces of Korean antique art.
[Kim Jong-chun / Chairman, Daboseong Gallery: “We must never again endure the same painful history.”]
Transcending time and space, the “Liberation 80, Future 80 – Daboseong Special Exhibition” offers visitors the chance to encounter relics that have lived through Korea’s turbulent past.
The exhibition runs until September 30.
BBS News, Jeong Young-seok.
관련링크
- 이전글(대한경제, 25.08.13) 문화유산에 스며든 숭고한 독립정신...명품-명작 多 모였다 25.08.19
- 다음글(MBN, 25.08.14) 명성황후 추정 초상…광복 80주년 특별전 25.08.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