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BS, 25.08.20) 아픔과 치욕…그렇지만 기억해야 할 역사
페이지 정보
- 조회수43
- 작성일25-08-22 10:01
본문
[앵커]
광복 80주년을 맞아 치욕의 역사를 되돌아보는 전시가 열리고 있습니다. 명성황후 시해범의 유묵과 조선총독의 인장까지 아프지만 기억해야 할 역사입니다.
이주상 기자입니다.
[기자]
[광복80 미래80 / 9월 30일까지 / 다보성 갤러리]
흰 두건을 쓴 채 평상복을 입고 있는 여인의 초상입니다.
평범한 옷차림이지만 옷감의 꽃무늬와 치마 아래로 드러난 가죽신의 코, 그리고 당초문양의 서양식 의자 등을 볼 때 명성황후의 초상화로 추정되고 있습니다.
명성황후 시해의 주모자이자 당시 주한 일본 공사 미우라 고로의 묵서도 함께 발견됐습니다.
을미사변이 국제적으로 비난을 받으면서 미우라는 본국으로 송환됐지만 처벌을 받지는 않았습니다.
오히려 메이지 시대의 원로로 대접받다 일흔두 살에 맑은 물과 밝은 달빛을 논하는 글을 남긴 겁니다.
군대를 해산하고 내정간섭을 본격화한 1907년 한일 신협약을 기념하는 서화첩입니다.
이토 히로부미와 이완용 등이 한 줄씩 지은 합작 시와 서화가들의 그림이 함께 수록돼 있습니다.
강제 병합 이후 초대 조선총독이었던 데라우치 마사타케의 인장입니다.
메이지 43년, 즉 1910년이 음각돼 있고 자신을 닮은 사자 얼굴과 한반도 지형을 연상시키는 꼬리 부분으로 지배자임을 과시하는 듯합니다.
[김선원/서예가 : 조국 광복된 지 이제 80년인데, 80년 동안 이런 작품들이 잘 보관됐다는 것이 대단히 소중한 일입니다.]
네덜란드 헤이그에서 열린 만국평화회의에 특사로 파견됐다 순국한 이준 열사의 글도 선보입니다. 백범 김구 선생은 암살되던 해 설날 아침에 조국광복이라는 필생의 소원을 글로 남겼습니다.
[김종춘/다보성갤러리 대표 : 광복 80주년을 맞아서 암울했던 치욕의 역사도, 우리 모두가 다시 한번 또 재조명할 수 있는 기회를 만들기 위해서 이번 전시회를 준비했습니다.]
광복 이후 80년을 되돌아보고 앞으로의 80년을 생각해보게 해줍니다.
(영상편집 : 우기정, VJ : 오세관)
[播音员]
值此光复 80 周年之际,一场回顾屈辱历史的展览正在举行。展出的作品包括刺杀明成皇后的凶手遗墨,以及朝鲜总督的印章,这些历史虽让人痛心,却必须被铭记。
记者李周尚报道
[记者]
[光复80年,未来80年 / 9月30日截止 / 多宝星古美术馆]
一幅戴着白色头巾、身着便服的女子肖像画。
虽然衣着朴素,但从布料上的花纹、裙下露出的鞋尖端,以及西式卷草纹图案的椅子等细节来看,推测为明成皇后的肖像。
同时展出了刺杀明成皇后的主谋、时任驻韩日本公使三浦梧楼的墨迹。
当时乙未事变在国际上受到强烈谴责,三浦虽被召回本国,但未受任何惩处。
相反,他在明治时期还受到元老待遇,直到 72 岁去世前,还留下了谈论“清澈之水与明朗月光”的题字。
展览中还有一册纪念1907年《韩日新协约》的书画合辑,那时朝鲜军队被解散,日本正式加强内政干涉。
册中收录了伊藤博文、李完用等人逐句合作的诗作,以及书画家的绘画。
展品之一是日本强行吞并朝鲜后,首任朝鲜总督寺内正毅所使用的印章。
印章上刻有“明治四十三年”(即1910年),印面呈现出与本人相似的狮首,尾部则让人联想到朝鲜半岛的形状,仿佛在炫耀其统治者身份。
[书法家金善元]
“祖国光复已80年,如今这些作品还能被妥善保存下来,确实极其珍贵。”
同时展出的还有1907年赴荷兰海牙万国和平会议的特使李儁烈士的遗墨,他因使命失败而牺牲。
以及白凡金九先生在遇刺身亡的那一年新年清晨,所留下的“祖国光复”这一毕生心愿的题字。
[多宝星古美术馆代表金种春]
“值此光复80周年之际,我们筹办了这场展览,希望能让国民再次重新审视那段黑暗屈辱的历史。”
这场展览让人们不仅回顾光复以来的80年,也思考未来的80年。
(影像编辑:禹基正 / 摄影:吴世宽)
[Anchor]
An exhibition is being held to mark the 80th anniversary of Liberation, looking back on the painful history of humiliation. From the calligraphy of Empress Myeongseong’s assassins to the seal of the Japanese Governor-General of Korea, these are painful memories, but ones that must be remembered.
Here is reporter Lee Joo-sang.
[Reporter]
[“Liberation 80, Future 80” / Until September 30 / Daboseong Gallery]
This is a portrait of a woman wearing a white headscarf and plain clothes.
Although her attire is simple, details such as the floral patterns on the fabric, the pointed leather shoes peeking out beneath the skirt, and the Western-style chair with arabesque designs suggest that this is a portrait of Empress Myeongseong.
Also on display is a piece of calligraphy by Miura Goro, the Japanese minister to Korea and the chief instigator behind the assassination of the Empress.
Though the Eulmi Incident drew international condemnation and Miura was recalled to Japan, he was never punished.
On the contrary, he was treated as an elder statesman of the Meiji era, and at the age of 72 left behind writings reflecting on “clear waters and bright moonlight.”
This is an album of poetry and paintings commemorating the 1907 Japan–Korea Agreement, signed after the dissolution of Korea’s military and the start of full-scale Japanese interference in domestic affairs.
It includes collaborative poems composed line by line by figures such as Ito Hirobumi and Yi Wan-yong, along with paintings by calligraphers and artists.
Also displayed is the seal of Terauchi Masatake, the first Governor-General of Korea following annexation.
The engraving reads “Meiji 43” (1910) and features a lion’s face resembling his own, with a tail shape reminiscent of the Korean Peninsula, symbolizing his authority as ruler.
[Kim Sun-won / Calligrapher : “It has been 80 years since our country was liberated, and the fact that works like these have been preserved for all that time is truly precious.”]
The writings of martyr Lee Jun, who was dispatched as a special envoy to the Hague Peace Conference and died there, are also presented.
Baekbeom Kim Gu, on New Year’s Day of the year he was assassinated, left behind a written prayer expressing his lifelong wish for the nation’s liberation.
[Kim Jong-chun / Director, Daboseong Gallery]: “To mark the 80th anniversary of Liberation, we prepared this exhibition to give everyone another opportunity to reexamine our dark and humiliating history.”
The exhibition invites us to reflect on the 80 years since Liberation and to consider the 80 years that lie ahead.
(Edited by Woo Ki-jung / VJ: Oh Se-gw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