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약장 > 한국관

본문 바로가기

한국 고미술 전시관

한국 고미술 상설전 
관심 작품
  • 60
  • 경기도약장
  • 조선시대 | 103×35×136cm
  • 1,761

본문

작품 정보


애엽 대복

oo 파극

금은 oo

남성 만형

서각 백질

선퇴 의이

박하

소엽

우방 가자

현삼 건o

위령 속단

oo 조각

지골 oo

계피 마황

오매 고련

홍화 매목

저령 택사

활석 석고

아교 간잠

양간 oo

산사 향부

등심 oo

계피 육계

현호 목단

백소 백개

복분 연자

oo oo

백변 대황

우슬 귀판

갈근 승마

감국 천화

인진 하수

맥아 신곡

귤피 청피

방풍 형개

전호 시호

적작 백작

백부근 익모

지모 황백

곽향 곽향

패모 사인

세신 백지

익지 oo

독홝 강활

천마 창포

봉출 삼릉

강황 산치

천초 단삼

도인 행인

오미 목과

정향 회향

차전 목통

지유 원지

토사 구기

삽주 백출

오약 방기

산사육 반하

지실 기각

사삼 길경

천문 맥문

황련 황령

적복 백복

산수 산약

목향 귀미

반하 진피

천궁 당귀

초과 후박

사군 빈랑

초 감

망초 향유

파고 두충

복신 황기


다양한 한약을 실용적으로 저장하고 관리하기 위해 고안된 장을 약장이라고 한다. 

이 경기도 약장은 약 선반 위쪽에 68개의 작은 서랍이 있고 쉽게 여닫기 위한 작은 고리가 달려 있으며 서랍에 약 이름이 쓰여 있다. 선반 밑에는 넣었다 뺄 수 있는 칸이 있어서 공간을 다양하게 쓸 수 있다.

농경사회로 접어들고 삶이 안정되면서, 민간에서도 기초적인 상비약을 구비하기 시작했다. 

사냥을 하거나 멀리 이사를 갈 때도 간단한 상비약을 챙겼다. 처음에는 한두 가지 약을 각자 또는 조합해서 작은 병에 담았지만, 나중에는 상자나 선반으로 발전하였다. 한약은 습도, 빛, 온도에 따라 쉽게 상하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해 약초를 방습제나 방충제 등으로 사용했다. 경기도는 특히 고급 약방이 많은 지역이었기 때문에 약장이 많이 제작되었다. 약장은 대부분 느티나무와 떡갈나무로 지어졌으며, 방습과 방충을 위해서는 벌레 먹지 않은 오동나무를 사용했다. 


为实际储存和管理多种韩药而设计的柜子称为药柜。 

该京畿道药柜在药架上方有68个小抽屉,为了方便开关,挂着小环,抽屉上写着药名。 架子下面有可以放进去和拿出来的格子,可以多样地使用空间。

进入农耕社会,生活稳定,民间也开始具备基础的常备药。 

打猎或搬家时也开始准备简单的常备药。起初,一两种药各自或组合在一起装在小瓶中,后来发展成箱子或架子。 韩药易随湿度、光照、温度而变质,为了防止这种情况的发生,将草药用作防潮剂或防虫剂等 京畿道是高级药房较多的地区,因此制作了很多药柜。 药柜多为榉树和橡树所建,为了防潮防虫使用不易被虫蛀的梧桐树。


A cabinet designed to store and manage various kinds of herbal medicines practically is called a medicine cabinet.

There are 68 small drawers at the top of the medicine cabinet, and round rings are attached to make it convenient to open and close, and paper with the name of the medicine is attached side by side on both sides. There is a shelf at the bottom that can be inserted in and out, so you can use various spaces. 

As they entered the agricultural life and gradually became stable, basic emergency medicine was provided in the house. Even when hunting or moving far away, people carried simple emergency medicine. At first, it was stored in a small bottle, sum, or complex containing one or two medicines. Later, it has gradually developed into a large and large medicine box or medicine cabinet. 

Since herbal medicines are easily deteriorated according to moisture, light, and temperature, they began to use medicinal herbs to preserve their quality well by storing them appropriately according to their weaknesses such as moistureproofing, insect repellent, and temperature.

In particular, the Gyeonggi-do region is a place that produces high-quality pharmacies, and mainly made of zelkova and oak trees used in the court, and also uses paulownia trees that have not been eaten to prevent moisture and insects.

CONDITION
NOTICE
본 전시는 판매전으로, 전시되어 있는 모든 작품들은 구매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