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자 철화 화문 매병 > 한국관

본문 바로가기

한국 고미술 전시관

한국 고미술 상설전 

본문

작품 정보

철화 안료로 화문을 시문한 고려시대 청자철화화문매병입니다. ‘매병’은 매화를 꽂기 적합한 형태에서 유래한 명칭입니다. 고려부터 조선 전기까지 제작되었으나 이후 점차 자취를 감춥니다. 외반한 구연과 각이 잡힌 경부, 풍만하게 벌어진 어깨를 지닌 전형적인 형태를 따릅니다. 


어깨에는 꽃잎 문양대가 둘러져 있고, 동체에는 자유로운 필선으로 그린 화문과 한자가 철화 안료로 시문되어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철화 안료는 유약에 반응하여 번지기 쉬우나, 이 매병은 문양이 선명하게 발색되었습니다.

 




这是以铁画颜料绘饰花纹的高丽青瓷铁画花纹梅瓶。“梅瓶”这一名称源于其造型最适合插梅花。此类器物自高丽至朝鲜前期都有制作,之后逐渐消失。器形呈典型样式:口沿外撇、颈部棱角分明、丰肩。


瓶肩一周装饰有花瓣纹带,瓶身则以铁画颜料随意勾勒花卉纹样与汉字。


一般而言,铁画颜料在釉下容易晕散,但这件梅瓶的纹饰却清晰分明,发色鲜明。






This is a Goryeo celadon plum vase (maebyeong) decorated with floral motifs painted in iron-brown pigment. The term maebyeong derives from its shape, which is well suited for holding plum blossoms. These vessels were produced from the Goryeo period through the early Joseon dynasty, after which they gradually disappeared. Its form follows the classic style, with a slightly flaring mouth, angular neck, and broad rounded shoulders.


Around the shoulders runs a band of petal motifs, while the body is adorned with floral patterns and Chinese characters freely brushed in iron-brown pigment.


Although iron-brown pigment often tends to blur under the glaze, the motifs on this vase remain sharp and vividly expressed.

CONDITION
NOTICE
상담/문의 : 02- 730-5601 / 02- 730-75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