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고려시대에 만들어진 백자철화초문호입니다. 고려시대에는 청자가 주류를 이루었기에 백자는 비교적 희소합니다. 조선 백자보다 낮은 온도에서 소성되었으며, 아백색(牙白色)을 띠는 점이 특징입니다.
외반한 구연과 좁은 경부, 저부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는 전형적인 항아리 형태입니다. 표면에는 밝은 유약이 고르게 시유되었으며, 담청색이 은은하게 감돌아 고려 백자 특유의 맑고 정제된 미감을 더합니다.
동체 전면에는 철화 안료로 초문(草文)이 시문되었습니다. 역동적인 필선에서 운율이 느껴지며, 여백의 미가 부각됩니다.
굽은 평굽이며, 유약을 닦아낸 후 소성되었습니다. 또한, 받침으로 사용된 모래 흔적이 남아 있습니다.
━━━━━
这是高丽时期制作的白瓷铁画草纹壶。由于高丽时期青瓷为主流,白瓷相对较为稀少。其烧成温度低于朝鲜时期的白瓷,呈现出象牙白色的特征。
器形为典型的壶式:撇口、短颈,腹下渐收。通体施明亮的釉料,泛着淡淡的青色光泽,突显出高丽白瓷特有的清雅与精致美感。
器身正面以铁画颜料绘饰草纹,笔触生动流畅,富有韵律感,充分体现了留白之美。
器物平底,烧成前曾将底部釉面拭去,并留有支烧所用砂粒的痕迹。
━━━━━
This jar, made in the Goryeo period, is decorated with grass motifs painted in iron-brown on white porcelain. Since celadon dominated Goryeo ceramics, white porcelain was relatively rare. Fired at lower temperatures than later Joseon wares, it is characterized by its ivory-tinted (ya-bai) surface.
The form is typical of a jar, with an everted mouth, narrow neck, and a body tapering toward the base. A clear glaze covers the surface, suffused with a subtle bluish tone that gives Goryeo white porcelain its distinctive refined beauty.
On the front of the body, grass motifs are painted in iron-brown with dynamic brushstrokes that convey rhythm and highlight the elegance of empty space.
The base is flat, with glaze wiped away before firing. Traces of sand from the support remain, showing how the piece was fir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