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조도 > 한국관

본문 바로가기

한국 고미술 전시관

한국 고미술 상설전 

본문

작품 정보

꽃과 새를 소재로 길상 의미와 염원을 담은 조선시대의 화조도(花鳥圖)입니다. 화조도는 인물화, 산수화와 함께 조선 회화 3대 주요 장르로 꼽히며, 화원들이 즐겨 그렸습니다. 


이 화조도는 총 두 폭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첫 번째 폭에는 수탉과 화초가, 두 번째 폭에는 암탉과 병아리, 달팽이, 잠자리, 들풀이 묘사되어 있습니다. 색채가 화려하고 생동감 있게 표현되었습니다. 닭은 출세와 가정의 화목, 병아리는 자손 번창을 상징하며, 잠자리와 달팽이는 폭을 더욱 풍부하게 채우고 생명력을 더합니다. 


이러한 도상은 가정의 화목과 번영에 대한 염원을 담으며, 주로 실내에 두거나 의례 자리에서 활용되었습니다.





此为以花卉与禽鸟为题材,寄托吉祥寓意与美好祝愿的朝鲜时代花鸟图。花鸟图与人物画、山水画并称为朝鲜绘画的三大主要题材,深受宫廷与民间画师喜爱。


此作共两幅:第一幅描绘雄鸡与花草相伴,第二幅则呈现母鸡带雏、蜗牛、蜻蜓与野草等画面。色彩鲜艳华丽,构图生动灵动,展现出极强的生命气息。雄鸡象征功名与家庭和睦,雏鸡寓意子孙繁衍,蜻蜓与蜗牛则丰富了画面内容,并赋予画作勃勃生机。


这类图常寄托着对家庭和乐与繁荣昌盛的愿望,多用于室内陈设或礼仪场合中。




This hwajodo (painting of flowers and birds) from the Joseon Dynasty conveys auspicious meanings and heartfelt wishes through depictions of flowers and birds. Along with figure and landscape painting, hwajodo was one of the three major genres of Joseon painting, often favored by court painters.


The screen consists of two panels: the first shows a rooster among flowering plants, and the second depicts a hen with chicks, along with a snail, dragonfly, and wild grasses. The vibrant colors and lively rendering enhance the composition’s vitality. Roosters symbolize success and family harmony, chicks represent fertility, while the dragonfly and snail enrich the scene with natural vitality.


These motifs express wishes for familial happiness and prosperity, and such works were commonly displayed indoors or during ceremonial occasions.

CONDITION
NOTICE
상담/문의 : 02- 730-5601 / 02- 730-75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