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회백색 유색 위에 철화 안료로 용과 구름을 그린 17세기 백자 호입니다. 외반한 구연와 짧은 경부, 풍만한 동체의 형태입니다. 표면에는 물레 성형의 회전 자국이 남아 있으며, 굽바닥은 비교적 낮고 평평합니다.
전면에는 여의주를 향해 비상하는 용이 그려졌습니다. 과장된 눈과 생김새, 해학적인 표정은 달마를 연상시킵니다. 운문(雲紋) 역시 활달한 필치로 묘사되어 화면 전체에 역동적인 분위기를 더합니다.
광주 지월리 요에서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되며, 굽바닥에는 소성 시 모래를 받쳐 구운 흔적이 보입니다.
━━━━━
此为17世纪的白瓷壶,灰白色釉面上以铁画颜料绘有龙纹与云纹。器形为外撇口、短颈、腹部丰满。表面留有旋轮成型的痕迹,圈足较低而平坦。
壶正面描绘了一条飞向如意珠的龙,眼睛和面部形象夸张,表情带有诙谐之感,令人联想到达摩形象。以奔放的笔触描绘云纹,赋予画面整体以生动有力的动态感。
此壶推测出自光州池月里窑址,底部可见烧制时垫砂的痕迹。
━━━━━
This 17th-century white porcelain jar features a dragon and cloud motif painted with iron-based pigment over a grayish-white glaze. The jar has a flaring mouth, short neck, and a full-bodied form. Wheel-throwing marks remain visible on the surface, and the foot is relatively low and flat.
The front depicts a dragon flying toward a wish-fulfilling jewel. The exaggerated eyes, stylized facial features, and humorous expression are reminiscent of the Buddhist figure Bodhidharma. The cloud patterns are rendered with dynamic brushstrokes, adding energy to the entire surface.
It is presumed to have been produced at the Jiweolli kiln site in Gwangju. The base shows traces of sand used during the firing proc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