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서안(書案)은 조선시대 사대부가의 사랑방이나 서실에서 책을 읽거나 글을 쓰는 데 사용된 평좌식 책상입니다. 좌식 생활에 맞게 낮은 형태로 만들어졌고, 주인의 자리를 은연중에 드러내는 상징적 역할도 하였습니다.
이 서안은 상판 양 끝이 살짝 올라간 형태로 물건이 떨어지는 것을 막은 구조입니다. 긴 서랍은 붓·벼루·종이 등 문방구를 수납하기에 적합합니다. 중앙에는 원형 잠금 장석이, 양옆에는 고리형 손잡이가 달려 있고, 모서리에 있는 금속 장석은 견고함과 미감을 더합니다.
짧은 네 발로 지탱되며, 하부에 개방감을 주어 좌식 생활에 알맞은 형태입니다. 바닥면에는 효와 도덕적 수양을 강조하는 내용으로 보이는 묵서(墨書)가 남아 있습니다. 일부 구절은 마모로 인해 명확한 확인이 어렵지만, 후손에게 교훈을 전하고자 한 기록임을 알 수 있습니다. 또한 ‘정축년(丁丑年)’이라는 연대가 확인되어, 1877년(고종 14년)에 쓰인 묵서로 추정됩니다.
━━━━━
书案是朝鲜时代士大夫在客厅或书房中用于读书和写字的平座式书桌。为适应坐地而坐的生活方式,书案整体低矮,同时也象征性地彰显主人的地位。
此书案桌面两端微微翘起,可防止物品滑落。长抽屉适合收纳毛笔、砚台、纸张等文房用品。中央设有圆形锁具,左右配有环形拉手,角落的金属装饰既增加稳固性又提升美感。
书案由四短腿支撑,下方保持开阔,适合平坐使用。底面留有墨书,内容强调孝道与道德修养,虽部分已磨损,但仍可看出为后人留下的教诲。其中标注“丁丑年”,可推测为1877年(高宗14年)所书。
━━━━━
A seoan (書案) is a low, floor-style desk used in the sarangbang (study quarters) or library of a literati household during the Joseon dynasty for reading and writing. It was made low to suit a floor-seated lifestyle and also served a symbolic role, subtly reflecting the status of its owner.
This particular desk has slightly upturned ends on the top board to prevent objects from slipping off. The long drawer is ideal for storing writing tools such as brushes, inkstones, and paper. At the center is a circular metal lockplate, while ring-shaped handles are attached on both sides. Metal fittings at the corners add both strength and elegance.
It stands on four short legs, with an open lower section that makes it well-suited for floor seating. On the underside remains an ink inscription emphasizing filial piety and moral self-cultivation. Although some passages are worn and unclear, it is evident that the text was intended to impart lessons to descendants. The inscription includes the cyclical year Jeongchuk (丁丑), corresponding to 1877 (14th year of King Gojong’s reig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