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청 상감 화문 편병 > 한국관

본문 바로가기

한국 고미술 전시관

한국 고미술 상설전 

본문

작품 정보

상감기법으로 화문을 시문한 조선 전기 분청사기 편병입니다. 편병은 둥글게 부푼 몸체의 앞뒤를 평평하게 눌러 만든 형태로, 15세기에 특히 유행하였습니다.


백상감으로 덩굴, 수양버들 등의 문양이 시문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문양은 생명력과 길상을 상징합니다. 띠무늬는 동체 중앙, 어깨, 목 둘레 등에 고르게 있어 균형 잡힌 미감을 형성합니다. 


표면은 정제된 백토를 입히는 분장기법(粉粧技法)으로 처리되었습니다. 유약은 전반적으로 고르게 시유되어 광택을 띠고, 굽은 모래를 받쳐 구운 흔적이 보입니다.





此为朝鲜前期以象嵌技法装饰花纹的粉青沙器扁瓶。扁瓶是将圆鼓的器身前后压扁而成的造型,特别在15世纪广为流行。


器身以白色象嵌技法装饰藤蔓、垂柳等纹样,此类图案象征生命力,寓意吉祥。带状纹饰均匀分布于腹部中央、肩部及颈部周围,整体构图平衡,富有美感。


表面采用了施加精炼白泥的粉妆技法处理,通体施釉均匀,釉面光亮。器底留有以砂垫烧制的痕迹。





This flat bottle from the early Joseon period is made of buncheong (grayish-blue celadon ware) and decorated with floral motifs using the inlay technique. The flat bottle form, created by pressing the front and back of a round, inflated body, was especially popular in the 15th century.


The white inlay features patterns of vines and weeping willows, symbols of vitality and auspiciousness. Bands of decorative patterns are evenly distributed across the central body, shoulders, and neck, creating a balanced aesthetic.


The surface is treated using the bunjang technique, which involves applying refined white slip. The glaze is evenly applied overall, giving a glossy finish. Traces of sand from firing are visible on the base.

CONDITION
NOTICE
상담/문의 : 02- 730-5601 / 02- 730-75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