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보성에서 만든 것으로 추정되는 조선전기 분청사기입니다. 목은 좁고 짧으며 그 위로 구순이 도톰하게 살짝 외반하였습니다. 몸통의 앞뒤 양면을 두드려 편평하게 만들고 양 옆면은 풍만한 형태입니다. 타원형의 굽은 아래로 퍼지듯 넓어지며 굽지름은 입지름의 3배 정도입니다. 굽바닥은 유약을 닦고 가는 모래를 받쳐 구운 흔적이 보입니다.
분청사기는 고려청자에서 조선백자로의 이행기에 등장하였으며, 청자에 백토를 분장하여 만들어집니다. 편병은 조선시대부터 만들어지던 기형으로 동체의 앞뒤가 눌려 편평한 형태입니다.
이 유물은 백토에 덤벙하여 동체 전체를 하얗게 분장한 뒤 산화철 안료로 물고기 문양을 시문하였습니다. 전면을 가득 채운 선명하고 커다란 물고기 문양에서 거침없는 필치가 돋보입니다.
━━━━━
这是朝鲜前期制作的青花白瓷。器底略微内凹,口沿平展外撇,整体呈宽浅盘形。盘内以青花绘制七只螃蟹,描绘精细。构图上留出中心空白,四周点缀螃蟹与水草,突出留白之美。螃蟹形象生动,各自姿态与方向不同,呈现出自然灵动的效果。
螃蟹自古以来象征科举及第、飞黄腾达与权势,因为螃蟹有硬甲,所以有“一甲传胪”之意。盘沿饰以连续的缠枝纹。青花颜料的晕染与浓淡变化增强了画面感,充分展现出朝鲜青花白瓷的艺术魅力。器足可见砂质支烧痕迹。
朝鲜前期的青花白瓷是王室专属之物,仅为宫廷礼仪或宴享而烧制,数量稀少,原则上只限王室使用。因此推测此器亦为与王室相关的随葬品。
━━━━━
This is an early Joseon buncheong ware, believed to have been produced in Beoseong. The short, narrow neck flares slightly outward at the rim. The body is flattened front and back with full, rounded sides, while the oval base flares outward to a diameter nearly three times that of the mouth. The base shows wiped glaze and traces of fine sand supports used in firing.
Buncheong ware, created by applying white slip over celadon, appeared during the transition from Goryeo celadon to Joseon white porcelain. The flattened bottle form was introduced in the Joseon dynasty, characterized by a body pressed flat at the front and back.
This piece was fully coated in white slip by the dipping (deombeong) method, then decorated with fish motifs painted in iron-brown pigment. The bold brushstrokes and large, vivid fish filling the surface showcase a free and expressive style.